과학

거짓 웃음은 뇌가 구분할 수 있다?

오델리아 2016. 5. 12. 23:07

기이하게도 꾀병을 간파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개발되었다고 하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억지 웃음도 알아챌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컴퓨터의 힘을 빌리지 않고, 우리의 뇌는 억지 웃음과 진짜 웃음을 구별 할 수 있다는....



- 뇌가 활성화 하는 위치가 다르다

영국 로열 할러웨이 대학의 심리학자 Carolyn McGettigan 박사에 따르면, 억지 웃음 소리를 들으면,우리의 뇌에서는 감정을 해독하는 위치가 활성화 한다.




즉, 들려오는 웃음이 진짜가 아닌 경우, 우리는 자연스럽게 "왜 이사람이 웃고 있는 척하고 있는 것일까?", "이 웃음의 의미는 무엇?", "이 사람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라고 생각하게 되어있다.


한편, 진심으로 웃고 있는 목소리를 들었다면, 뇌에서 활성화 하는 것은 행복과 긍정적인 감정을 관장하는 부분이라고 한다.


- 실험에서 입증 된 것이라고...

위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박사는 실험을 시도했다.


피험자들에게 누군가가 정말 웃고 있는 Youtube의 동영상을 보여주고, 뇌의 반응을 관찰했다. 또한 동영상은 각자 재미있다고 생각한 것을 픽업 해 달라고 했다.



가짜 웃음을 들었을 때와 비교했지만, 뇌 반응의 차이는 물론, 주목할 만한 실험의 의미를 모르고 있었던 피험자들은 무의식적으로 가짜 웃음을 구별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뇌가 다른 사람이 느끼는 진정한 행복과 그 하는척을 구별 할 수 있다니 흥미롭다"라고 말하는 박사.


또한 일부 움직임을 제어하고 자극을 인식하는 위치가 연동하고 있던 피험자가 있었지만, 이 유형의 사람은 더 정확하게 정품과 가짜 웃음을 구별하고 있었다고 한다.


자주 눈이 웃고 있지 않은 사람이 있지만, 실은 그 웃음 소리를 듣기만 해도 우리는 거짓말 인지..진짜인지 안다? 반대로 상사의 어눌한 개그에 억지 웃음을 앞으로는 지을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