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뇌에 블랙홀? 뇌를 붕괴시키는 놀라운 거대한 수 "그레이엄 수"

오델리아 2018. 3. 12. 08:37

수학적인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평생 관계하고 싶지 않은 이슈이다. 


"그레이엄 수"라는 것은, 수학자 로널드 그레이엄이 1971년에 제창 한 숫자로, 램지 이론(일정한 질서가 어떤 조건하에서 반드시 나타나는지를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의 미해결 문제의 솔루션에 대한 추정치의 상한으로 하는 것이다.



그레이엄 수를 얻으려면 64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는데, 처음 몇 단계를 마친 후에는 3의 배수를 약 7조 6000억 번 반복해야 한다. 더 이상 "∞"라는 것은 좋지않다?라는 수준의 수로, 관측 가능한 우주조차도 그레이엄 수의 전체 자릿수를 기록하는데에 공간이 부족한 정도의 것... 


- 표기 불능의 거대한 수 "그레이엄 수" 


그레이엄 수는 수학의 증명에 사용 된 적이있는 최대의 개수로 1980년 기네스 북에 인정 받았다. 


상상을 초월하는 크기이기 때문에, 상상하려고하면 뇌에 블랙홀이 생성되어 버릴지도 모른다. 




유한한 공간에서 제한된 양의 정보 만 저장할 수밖에 없다. 이 정도까지의 자릿수(게다가 실제로 어느 정도의 자리수가 되는지는 불분명하다)를 뇌에 담으려고 한다면, 블랙홀이 만들어 질 수도있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별에서 모은 물질을 시공 한 점에 집중 시켰을 때처럼.



- 너무나 큰 수에 뇌가 붕괴 해 블랙홀로


physics Astronomische의 사이트에는 다음과 같은것이 있다. "당신이 그레이엄 수를 상상하려고하는 것만으로도 머리가 붕괴 해 블랙홀이 될지도 모른다. 당신의 두뇌는 그것을 마음에 그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에 너무 작은 것이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수리 물리학자 존 바에즈에 따르면, "그조차 그레이엄 수의 크기를 있을 수 없을 정도로 과소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수의 단위 "구골"도 위험


참고로 뇌를 블랙홀 시키는 숫자는 또 있다. 예를 들어, "구골"이다.



구골은 수의 단위로, 1 구골은 10의 100승 "1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이다.


또한 그레이엄 수는 1구골보다도 수개조나 많다고....


무심코 그레이엄 수를 생각해, 블랙홀이 되어 버리지 않을까 불안한 당신. 그렇게되기전에 기동전사 건담 ○○의 등장 인물, 그레이엄 에이커에 의식을 날려 버리는 것을 추천. "너의 존재에 마음 빼앗긴 남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