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테러 대책으로 노트북 기내 반입 금지되나?

오델리아 2017. 5. 11. 18:23

미국 국토 안보부(DHS)는 2017년 3월부터 북아프리카와 중동 8개국의 항공사 9개사에 대해, 휴대 전화보다 큰 전자 기기의 기내 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해왔지만, 이 조치가 유럽 지역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 보도는 미국 CBS News가 당국 직원의 말을 인용해 보도 한 것이다. 그 내용에 따르면, DHS는 반입 금지 조치를 확대하는 장점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 정부 관계자는 미국 국내 항공사와 협의를 거의 일주일에 한 번의 페이스로 진행하고, 판단은 앞으로 몇 주 안에 내려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DHS 직원에 따르면, 이 내용은 2017년 3월 현재 검토되고 있었던 것이고, 계속해서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는 것. 미국 교통 안전국(TSA)은 CBS의 취재에 대해 "반입 금지 조치의 확대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지만,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보안 조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기내 반입 조치는 테러리스트 등이 폭발물을 노트북 등 비교적 대형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로 가장해 기내에 반입, 상공에서 폭발하는 것을 막기위한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조치에 따라, 기내에서 일을 할 수 없게되는 사업가 등이 영향을 받는 등 현실적으로 실행이 어려운 면도 남아있다는 견해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비록 화물칸에 노트북을 맡긴다고 해도 완전히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미국 연방 항공국(FAA)이 실시한 실험에서는, 비행기의 화물칸과 비슷한 환경의 시설에 화재에 사용되는 하론 가스를 충전 시킨 상태에서 리튬 이온 전지의 소화 시험을 실시했었는데, 리튬 이온 전지에 하론 가스는 소화 능력이 없어 결국 배터리가 폭발하여, 컨테이너가 파괴된다는 결과가 공표되어 있다.



또한, 전술 한 바와같이 규제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단계. 규제의 대상이되는 것은 "스마트폰 보다 큰 전자기기"이며, 노트북은 물론 태블릿 PC나 DVD 플레이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기기는 제외된다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