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에는 한계가...125세는 넘기기 어렵다

인간의 수명은 115세 기준으로, 125세 이상 사는 것은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 인구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 과학 잡지 네이처에 인간의 수명에는 한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게재되었다. 미국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과 대학의 연구 그룹들이 세계 40개국 지역의 인구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 "수명의 한계는 약 115세"라고 분석 국제 인구 통계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수명은 1990년대 무렵부터는 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 약 115년이 인간의 수명의 한계로, 125세 이상의 확률은 10,000분의 1미만이라고 분석. 사람의 수명은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 사상 최장수 기네스 기록은 122세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수명은 세계적으로도 계속 증가하고..

과학 2016.10.07

혈액에서 HIV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 에이즈 치료에 희망의 빛

세계 의료계에 엄청난 희망의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영국에 거주하는 44세의 남성이, 역사상 최초의 HIV 치료에 한걸음 내딛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은 새로운 치료를 시도하고 있고, 그 결과 이 환자의 혈액 내에서 HIV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었다는 것이다. 영국에 있는 5개의 대학으로부터 집결 된 팀은 현재, 50명의 피험자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영국 국립 보건 연구소의 디렉터 인 Mark Samuels 씨는 "우리는 현재 HIV 치료를 위한 진정한 가능성을 모색중이다. 이것은 큰 도전이다. 지금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진보는 눈부시다"라고 말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항 레트로 바이러스 치료에서는,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T 세포에 대해서는 효력을 가지지만, 바이러스 감염 후 ..

과학 2016.10.04

아이가 잘못 먹었을 때, 절대 물을 마시면 안되는 2가지

신생아부터 2세 까지의 아이들은, 뭐든지 입에 넣어 버리는 시기라는 것이다. 아기 때는 물건의 감촉을 손이 아니라 혀와 입 주위로 확인하고, 치아가 나기 시작하면 뭐든지 입에 넣고 씹기 때문이라고. 부모로서 입에 뭐든지 넣어 버리는 것은 비위생적인 것이 아닐까? 라고 간담이 서늘해지지만, 가장 무서운 것은 "작은 것을 입에 넣어 잘못 삼켜 버리는 것"이다. 위험한 것은 아기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있다고 해도, 예기치 못한 사고가 일어날 수도... 그래서 이번에는 "어린이가 잘못 섭취하더라도 물을 마시면 안되는 것"에 대해 알아보자.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은 만일의 경우를 위해 알아두자. ▶ 담배 자신의 집뿐만 아니라 친척 집에 놀러 갔을 때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섭취 질문에 가장 많은 것이 ..

주말, 지구 근처를 지나간 소행성이 있었다

이제 걱정은 없다고 한다. 올해 3월에도 소행성이 지구에 가까이 접근 했었던 적이 있는데, 지난 토요일에 직경 16m ~ 52m 정도의 소행성이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위치를 통과했다. 그러나, 소행성이 지구에 접근하고 있었다는 사실보다도, 이 정보를 전혀 모르고 주말을 보냈던 사실에 놀란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좀 복잡하지만, 아래 이미지는 NASA JPL의 Small body database observer에 의해 만들어진 것. 이번에 접근 한 소행성 "2016 QA2"는, 하늘색 라인의 궤도를 그린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잘 보면 타원 모양으로 움직이면서 지구, 수성, 금성, 화성에 접근하는 "2016 QA2"의 이상한 궤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지구 옆을 통과 한..

과학 2016.09.03

냉동 피자의 맛을 간단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토핑

냉동 피자는 매우 편리하다. 보기에는 상당히 부실하게 보일지 몰라도, 상당히 좋은 식사가 된다. 하지만, 좀 더 맛있게 할 수 있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여러 종류의 토핑을 더하는 것만으로, 정규 박스 피자만큼 제대로 된 피자로 업그레이드 된다. 해외 요리 사이트 Bon Appetit에서는, 5명의 프로 요리사가 냉동 피자를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있다. 그들이 제안하는 수많은 아이디어 중에서, 계속 반복되는 테마는 "확고한 맛이 있는 것을 토핑 할 것"이라고, 유명 블로거 Cory Doctorow 씨는 지적하고 있다. 특히 마늘은 전문 요리사 모두가 추천하는 재료. 뉴욕에 있는 가정 요리 레스토랑 Mimi Cheng's의 창업자 인 Hannah Chan 씨와 Marian Cheng 씨..

카자흐스탄의 초원에서 피라미드와 닮은 "무덤의 흔적" 발견

중앙 아시아에 위치 한 카자흐스탄.그 초원에서 발견 된 계단 모양의 무덤 사진이 공개 돼 화제가 되고있다. - 5단의 계단식 피라미드 그 무덤이 발견 된 것은 카자흐스탄의 중앙부에 있는 Karaganda 지역. 이것은 청동기 시대 후기에 막강한 힘을 자랑하던 지역의 리더를 매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이미 구조물은 모두 허물어져 무너져 있지만, 원래는 흙과 돌로 만들어진 5단의 계단식 피라미드였다고 추측되고 높이 2m, 14m × 15m의 면적이었을 것으로 추정.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고고학자의 Viktor Novozhenov 씨에 의하면, 이 피라미드는 지금으로부터 약 3000년 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집트의 것보다는 상당히 작다고 한다. - 향후는 석실의 내부를 조사 할 ..

과학 2016.08.22

목성을 아래에서 보면?

목성의 일반적인 모습은 수없이 많이 봐 왔을 것이다. 둥근 원(목성)에 특유의 옆으로 줄이 쳐져 있는 듯한 모습.... 그러나 고맙게도 NASA가 우리들에게 아주 신기한 모습을 또 선사했다. 그것은 바로 아래에서 보면...이러한 모습이라고 NASA에서 공개했다. 그렇다...아래에서 보면 이런 모습이라고 한다. 옆에서 보았을 때의 가로 줄무늬의 공이라면, 아래 위에서 보면 이렇게 보이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우리의 눈에 익숙한 목성이 아닌 다른 행성으로 생각될 정도이다.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목성에 접급했을 때 촬영한 것으로, 밝은 면(낮측)만을 합성한 것이라고 한다.

과학 2016.08.08

천식은 알레르기가 아니었다? 원인은 유전자에 있다

천식은 현재 완치할 수 없는 병이다.약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대중 요법 밖에 없다. 그런데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의 최근 발견으로 천식 완치의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특정 사우샘프턴 대학의 연구자들이 발견 한 것은, ADAM33이라는 유전자가 천식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 사람의 신체는 손상되었을 때, 그 부분의 세포가 증식하여 상처를 복구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이 일종의 효소이다. 그리고 그 효소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ADAM33라는 유전자이다. 보통이라면, 이 효소는 상처가 있는 부분에 생성되는데, 천식 인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부분, 즉 기도에서 생성되어 그 결과 세포가 증식하고, 기도 벽이 두껍게 되어 좁아져 버린다. ..

과학 2016.08.04

체르노빌에서 발견 된 방사선을 좋아하는 균,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7월 18일 플로리다 케이프커 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발사 된 SpaceX Dragon, 얼마전 국제 우주 정거장에 도착 해 새로운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 이 중 일부는 체르노빌에서 발견 된 방사선을 좋아하는 균, 8종류가 포함되어 있었다. 체르노빌 사고 10년 후, 1966년에 국제 원자력기구(IAEA)가 제출 한 보고서에서 방출 된 방사성 물질의 양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400배라고 추측하고 있다. 사고로 인하여 주위의 동식물은 완전히 파괴되어 버렸지만, 그로부터 30년 후, 방사능으로 오염 된 체르노빌에서 번식하고 있는 세균이 발견되어 뉴스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사고 현장에서 채집 한 이 균을 과학자들이 조사한 결과, 단지 번식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방사선으로 성장하는 것을 알고, 또한 전문가들을..

과학 2016.08.02

석류가 회춘으로 연결되는 성분이 있다?

앞으로 석류 주스를 많이 마셔야 될 듯~ 노화를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거기다가 젊어질 수 있는 약. 바로 예로부터 불로 장수를 추구하는 인류는 계속적으로 탐구해왔다. 무려 그 열쇠가 과일 석류에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최근 과학 저널 "Nature Medicine"에 발표되었다. 스위스 연방 공과 대학(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로잔 대학 및 생명 공학 기업의 Amazentis가 공동으로 진행 한 연구에 따르면, 석류를 먹으면 장내에서 만들어지는 유로리틴 A(UA)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실험용 선충에 UA를 주입하면 수명이 45%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또한 노령의 실험용 쥐에게 UA를 주입 한 결과, 시간이 ..

과학 2016.07.31

알아두면 편리, 캠프와 BBQ에서 사용할 수 있는 11가지 아이디어

여름은 야외 이벤트가 많은 계절. 이벤트라고 하면 바로 떠오르는 것이 캠프와 BBQ 등인데, 그럴 때 알고 있으면 상당히 편리하고 유용한 아이디어가 있다. 이미 이렇게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1. 옥수수 칩 잘 몰랐었는데....착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고. 오호~ 2. 얼음 물병 아이스 박스에 넣어두면 훌륭한 냉장고가 된다. 녹은 후에는 식수로~ 3. 촛불 다 쓴 통조림 캔에 넣으면 바람막이도 되고, 반사가 되어 더 밝아진다. 4. 비누는... 얇게 깎아두어 1회 용으로 사용하면 상당히 편리하다. 5. 헤드 라이트 워터 탱크의 내향에 장착하면 훌륭한 랜턴이 된다. 6. 테이프 병 류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을 빙빙 감아두면 짐을 줄일 수 있다. 7. 조미료 빨대에 넣어 양쪽을 붙이면 부피를 확 줄일 ..

처음 본 얼굴 기억하는 능력은 여성이 남성보다 우월하다?

처음 만난 사람과 만났을 때 얼굴과 이름을 빨리 기억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는데, 캐나다 McMaster 대학, Jennifer Heisz 교수들의 연구에 의해 알게된 사실... 여기에는 성별 차이가 있고, 여성이 남성보다 기억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기억력이 높은 것은...눈의 움직이는 방법에 있는 것 같다고 한다. 실험 대상은 남녀 각 40명. 처음 만난 사람의 얼굴을 컴퓨터 화면에 이름과 함께 무작위로 표시하고, 시표준 추적장치로 실험자의 눈이 얼굴의 어느 부분을 자세히 관찰하고 있는지 확인 후, 이름과 얼굴을 어느 정도 기억하고 있는지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 여성의 시선은 남성에 비해 눈, 코, 입 부분, 즉 얼굴의 특징이 되는 부분을 더 중점적으로 검사하고,..

과학 2016.07.19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질병일까?

몇 개월 전, 연구자들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서로 열띤 논의가 있었다. 그들이 모인 목적은, 노화를 지연하는 약의 시험을 하는 것이었다. 만약 성공하면, 세계 최초로 노화가 약으로 치료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투자 할 것을 뒷받침 할 수도 있다. Nature News에서 발표 된 FDA 직원의 코멘트에서도 FDA로도 이를 지지 할 방침임을 알 수 있다. 건강과 제약에 관한 연구의 목적은, 특정 질병이나 컨디션 불량을 치료하는 것이다. View image | gettyimages.com 하지만 환자가 고령이라 완치하는데 스스로의 힘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고령의 환자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하나 치료했다고 해도 결국은 다른 질병에 걸려..

과학 2016.07.19

메일 주소의 "@"...그 유래는?

e메일은 요즘 사람들 거의 한 두개는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이메일 주소가 뭐냐고 하는 사람은....ㅠ.ㅠ 아마 없겠지요? 이메일은 20여년 전부터 보급되어 왔지만, 인류 최초의 e 메일의 흔적은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컴퓨터 엔지니어였던 레이 톰린슨(Ray Tomlinson)씨가 e 메일에 "@(기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왜 e 메일 주소에 "@"가 포함되게 된것일까? 톰린슨씨의 기억에 의하면.... Embed from Getty Images 처음에 키보드를 생각했다. 사용자 이름과 혼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이 있을까? 만약 사람들이 이름에 "@"을 사용하는 것이 있었다면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쉼표나 슬래시와 괄호는 이름에..

1977년부터 현재까지...보이저의 트리뷰 영상

지금도 우주에서 쾌속주행 중인 보이저호! 1977년에 발사되어 현재도 우주를 계속 날아가고 있는 보이저 1호와 2호. 목성과 토성을 관측하기 위해 날아갔지만, 보이저 2호는 천왕성과 해왕성에 도달해 있다. 보이저 계획은 지구에서 가장 멀리 비행 한 탐사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Sentiago menghini 씨는 보이저 계획의 트리뷰 영상을 애니메이션과 실제 영상을 섞어 제작했다. 이 영상은 실제 사진과 보이저 호로부터 수신한 플라즈마 주파수를 사용한 것. 왠지 정말 우주에 있는 것 같고, 보이저 호와 함께 하고 있다는 생각이~~

과학 2016.07.05

바닷물은 왜 마실수 없나?

뜨거운 한여름의 바다에 표류하는 사람은 아무리 심한 갈증에 시달린다 하더라도 주변의 무진장한 바닷물을 마실 수가 없다. 우리 몸의 세포에는 적당량의 무기 염류가 있어 세포의 삼투압과 pH를 유지시키고 있는데 그 농도는 약 0.9%가 된다. 그러나 바닷물의 무기 염류 농도는 약 3%이며 우리 몸의 세포액 농도보다 진한 고장액이다. 그러므로 바닷물을 마시면 혈액 중의 무기 염류 농도가 세포액의 농도보다 진해져 세포로부터 혈액이나 림프로 물이 빠져 나오게 된다. 그 결과 혈액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신장은 혈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염류나 물을 배출시키지만 겨우 2% 정도의 염류만을 배출할 수 있을 뿐이다. 무기 염류가 3% 섞인 바닷물을 1L 마셨다고 하면 2%의 염류를 품고 있는 오줌을 1.5L..

대형 빌딩에는 왜 회전문을 설치할까?

3, 4층의 단층 건물인 경우에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문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몇 십 층 짜리 건물들의 출입문은 여닫이문과 회전문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왜 회전문을 사용하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만약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면 그 사람은 매우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다. 여러분도 회전문을 지나가 봤으니 알겠지만 사람들이 줄지어 다닐 때야 쉽지만 혼자서 회전문을 밀고 들어가려면 여간 힘이 드는 게 아니다. 더구나 자칫 한눈을 팔면 문 사이에 옷자락이나 손가락이 끼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여닫이문보다 회전문이 튼튼하기 때문일까? 온도에 따른 공기의 움직임을 생각하면 간단하다.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더운 공기의 빈자리를 파고든다. 빌딩을 예로 들어 생각해 보자...

온난화의 가속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충격 나선형"

미국 지질 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의 가속을 시각화 한 나선이 충격적이라고...언급했다. - 1850년부터 2100년까지의 평균 기온을 시각화 이 나선은 영국 레딩 대학의 기후 학자 Ed Hawkins 씨가 1850년부터 2016년의 기온을 분석 한 그래픽을 확장해 제작한 것이라고. 이 혁신적인 접근 방식에 영감을 받아, 미국 지질 조사국은 2100년까지의 온도를 예측하는 나선형을 제작했다. 아무런 대책을 하지 않으면 2100년에는 1850년 당시부터 5도나 기온이 상승해 버리는 일이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 "커뮤니티 기후 시스템 모델(CCSM)"과 "고위 참조 시나리오"(RCP8.5)가 기준 미래의 기온을 모델링하기 위해 과거, 현..

과학 2016.06.15

어려운 결정을 할 때는, 하룻밤 자고나서?

어려운 결단과 선택을 해야될 때 이제는 "하룻밤 자고 생각해보세요"라고 할 수 있겠다. 잡지 "Memory and Cognition(기억과 인지)"에 실려 있던 영국 랭커스터 대학의 연구에서 하룻밤 자는 것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말 도움이 된다고... 하룻밤 자고나면 다음날 아침에는 신선한 기분으로 다른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결단하기가 쉽다. 사람에 따라서는 상식이라고 해야할지도 모르겠지만, 큰 문제나 인생을 변화시키는 큰 결단을 해야할 때는 더욱 이러한 것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먼저 피험자에게 자극의 강도에 변화를 주고, 난이도는 여러가지였지만 대답에 관련된 과제를 부여했다. 풀리지 않던 문제를 "수면후", "각성상태", "휴식없이"상태로 나누어 다시 피..

지옥같은 상황에서도 살아가는 지렁이가 발견

좀 기분 나쁠수도 있지만, 불가사의 한 기적의 생물이라고 해야... 미국 콜로라도에 있는 유황 동굴. 유황(sulfur)동굴은 "황"이라는 의미로, 글자처럼 치명적인 유황 가스가 가득하고, 걸쭉한 액체가 뚝뚝 떨어질 정도의 마치 지옥같은 장소이다. 물론 그러한 지옥같은 환경에서는 생물은 없다....라고 생각했었는데, 무려 유황 동굴에서 꼬물 꼬물거리고 있는 실지렁이를 과학자들이 발견 했다고.... 이 신기하고 특이한 생물을 찾기 위해서는, 동굴 깊숙이 들어자지 않으면 안된다. 하수도의 환기에 사용하는 거대한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 중의 유황 가스를 날려버리고 시도했다고 한다. 과학자들이 동굴에 들어가보니, 걸쭉한 기분 나쁜 슬라임 같은 단세포 박테리아가, 종유석처럼 매달려 있었다. 그런 가운데, 실지렁..

과학 2016.06.09